1. 동구바이오 기업 개요 및 주요 사업
동구바이오제약은 피부과 및 비뇨기과 전문의약품, CMO(위탁생산), 바이오 의약품, 코스메슈티컬(의약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제약 기업입니다. 국내 피부과 처방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질캡슐 생산에서는 국내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CMO 시장 및 바이오 신약 개발을 확대하며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1-1. 의약품 및 의약외품(매출 비중: 97.9%)
● 대표 제품: 더모타손 MLE 크림/로션, 유로파서방정, 알렌스틴정
● 핵심 기술: MLE 피부 보습 기술, DDS 약물 전달 시스템
● 피부과 및 비뇨기과 전문 의약품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
1-2. CMO(위탁생산)
● 연질캡슐 기반 개량신약 및 건강기능식품 생산 확대
● 글로벌 CMO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위한 생산시설 확충
1-3. 바이오·코스메슈티컬
● 피부과 병·의원 전용 스킨케어 브랜드 '셀블룸' 확장
● 항노화 및 재생 기능성 화장품 개발
2. 동구바이오 최근 기업 동향
2-1. 글로벌 시장확장
● 몽골 정부와 의약품 공급 계약 체결, 동남아 및 중동 시장 진출 가능성 증가
● 글로벌 원료의약품(API) 국산화 협력 추진
● 미국 및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FDA 및 EMA 인증 절차 진행
2-2. 연구개발(R&D) 확대
● 피부과, 비뇨기과 치료제 개발 지속
● 비만 치료제 및 뇌질환 치료제 연구
● 희귀 질환 치료제 개발 착수 및 신약 파이프라인 강화
2-3. 생산시설 투자
● 연질캡슐 CMO 확대를 위한 200억 원 규모의 공장 투자
● c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수준의 제조시설 확충
● 해외 수출 확대를 위한 GMP 수준 향상 및 생산성 증대 목표
2-4. 경영 전략 변화
● 제약을 넘어 '토탈 헬스케어' 기업으로 확장
● 기능성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신규 시장 개척
● 디지털 헬스케어 및 원격의료 서비스와의 연계 가능성 검토
●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 강화를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추진
3. 재무제표 분석
3-1. 손익계산서 분석
가. 매출 성장세(2019년 → 2023년)
● CAGR(연평균 성장률) 14.5%
● 2019년 1,252억 → 2023년 2,157억(+72.3%)
● 해외 매출 비중 증가 및 CMO 사업 확대가 주요 성장 요인
<연간 매출액> | <분기별 매출액> |
![]() |
![]() |
나. 영업이익률
● 2022년 8.7% → 2023년 6.8%(원가 부담 증가로 소폭 하락)
● 신약 개발 및 마케팅 비용 증가가 영업이익률 하락에 영향을 미침
<연가 영업이익> | <분기별 영업이익> |
![]() |
![]() |
다. 당기순이익
● 2023년 118억으로 회복(CMO 및 수출 증가 효과)
3-2. 재무상태표 분석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증가(157억 원 → 238억 원)
● 유형자산 증가(공장 및 설비 투자 확대)
● 무형자산 증가(연구개발 및 브랜드 개발 정상 추진)
● 재고자산 감소(생산 최적화 및 판매 증가 효과)
● 부채비율 안정 유지(73.04%) → 재무 건전성 확보
4. 주요 가치지표 분석('24년 9월 기준)
● PER(주가수익비율): 13.64배(제약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가능성)
● ROE(자기자본이익률): 11.12%(양호한 수준)
● PBR(주가순자산비율): 1.42배(업종 평균 대비 낮음, 주가 상승 여력 존재)
● 부채비율: 73.04%(재무 안정성 확보, 추가 투자 여력 보유)
5. 투자 위험요소
● CMO 사업 경쟁 심화 → 마진 압박으로 수익성 감소 가능성
● 연구개발(R&D) 비용 증가 → 신약 개발 성과에 따라 재무 부담 발생 가능
● 해외 진출 리스크 → 몽골 및 동남아 시장 확장에 따른 규제 및 유통 문제
● 환율 변동 리스크 → 글로벌 시장 확장 시 환차손 발생 가능
6. 성장 가능성과 목표 주가 전망
6-1. 성장동력
● 피부과, 비뇨기과 처방 시장 강점 유지 → 안정적인 매출 증가
● 연질캡슐 CMO 사업 확대 →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 가능성
● 코스메슈티컬 및 건강기능식품 성장 → 헬스케어 시장 확대
● 해외시장 지출 가속화 → 매출 다변화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 디지털 헬스케어 및 AI 기반 신약 개발 추진 → 미래 성장 동력 강화
6-2. 목표 주가 전망
현재 동구바이오제약의 PER 및 PBR이 업종 평균 대비 낮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매출 성장과 해외 성과가 반영될 경우 주가 재평가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5년 3.11. 현재 주가 4,820원)
● 단기목표: 6,220원 ~ 8,290원
● 장기목표: 10,000원 이상(R&D 성공 시 재평가 가능)
![]() |
동구바이오 주가현황('25.3.11) / 출처: 네이버 증권 |
7. 결론
동구바이오제약은 피부과·비뇨기과 처방 시장에서 강점을 바탕으로 CMO 사업, 바이오 의약품, 코스메슈티컬 등의 신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외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추가적인 성장 기회가 존재합니다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된 주가 수준을 고려할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가치가 높은 기업으로 판단됩니다.
'사업보고서(재무제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주가 주식 전망: 글로벌 애슬레저 리더로 성장할 수 있을까? (8) | 2025.03.19 |
---|---|
동국제약 주가 주식 전망: 기업 분석 및 투자 전망 (4) | 2025.03.16 |
에스앤에스텍(S&S Tech) 주가 주식 전망: 반도체 시장과 함께 성장하는 핵심기업 (1) | 2025.03.09 |
가온전선 주가 주식 전망: 글로벌 확장과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분석 (3) | 2025.03.05 |
삼성중공업 주가 주식 전망: LNG운반선 및 FLNG 시장 확대로 인한 성장성 분석 (2)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