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이엠텍 기업 기본 정보
1-1. 업종 및 주요 사업
이엠텍은 전자기기 및 부품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헬스케어 기기 분야에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부품사업부: Micro Speaker, Dynamic Receiver, Vibration Motor 등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
● 제품사업부: 전자담배 기기, 헬스케어 기기, 뷰티케어 기기, Wireless 이어셋, 스마트 보청기 등
● 주요 응용 분야: 스마트폰, 전자담배, 뷰티 디바이스, 웨어러블 기기 등
1-2. 최근 주요 뉴스와 경영 변화
● 글로벌 사업 재구조화: 2024년 베트남 및 중국 계열사 청산. 사업 효율화를 통해 고정비 절감과 핵심 사업 강화
● 삼성전자와 협력: "우수협력사 최우수상" 수상.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 시장에서 안정적인 매출 기반 유지
● 신제품 출시: 스마트 음성 증폭기 및 무선 헤드셋 신제품 개발. 일본과 유럽 시장에서 높은 수요 증가 기대
2. 이엠텍 주요 재무제표 분석
2-1. 손익계산서
<매출액 성장률>
● 2022년: 4,002억 원 → 2023년: 2,635억 원 (-34.2%)
● 2023년 3분기: 1,955억 원 → 2024년 3분기: 1,360억 원 (-30.4%)
연평균 성장률이 -30% 이상 감소하며 정상 기준에 미달
<영업이익 성장률>
● 2022년: 340억 원 → 2023년: -146억 원 (적자 전환)
● 2023년 3분기: -120억 원 → 2024년 3분기: -180억 원 (적자 확대)
고정비 부담과 매출 감소로 영업이익 성장 부진
<지배지분 순이익>
● 2022년: 248억 원 → 2023년: 245억 원
● 2023년 3분기: -80억 원 → 2024년 3분기: -155억 원
순이익 감소가 지속되며 수익성 약화
<영업이익 vs 당기순이익>
영업손실이 당기순손실을 초과하며, 매출 감소와 고정비 부담이 주요 요인
![]() |
![]() |
2-2. 재무상태표
<유형자산 대비 매출액 비율>
● 2023년 말 유형자산: 1,570억 원, 매출액: 2,635억 원 → 비율 59.6% (정상 범위)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2023년 말: 729억 원 → 2024년 3분기: 525억 원 (-28%)
감소 원인: 설비 투자 및 운영비 지출 증가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 변화>
● 매출채권: 489억 원 → 224억 원 (-54.2%)
● 재고자산: 472억 원 → 398억 원 (-15.7%)
매출이 감소함에 따라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함께 감소는 정상적인 현상임
<자본잠식 여부>
● 자본총계: 2,263억 원, 자본금: 87억 원 → 자본잠식 아님
2-3. 현금흐름표
● 영업활동 현금흐름: +189억 원 → 매출채권 감소로 현금 유입
● 투자활동 현금흐름: -261억 원 → 신규 설비 투자로 현금 유출
● 재무활동 현금흐름: -145억 원 → 차입금 상환 및 배당금 지급
3. 주요 가치 지표 분석
3-1. PER (Price-to-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값: -24.86
● 이엠텍의 PER이 음수라는 것은 당기순손실로 인해 EPS가 음수라는 것을 의미
● 적자가 지속되면 주식가치 하락 위험
● 전자담배, 헬스케어 기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 확대가 이루어진다면, EPS 개선과 함께 PER의 회복 가능성이 존재
3-2.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값: -8.15%
● 음수라는 것은 자기자본 대비 손실을 기록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수익성 개선이 필요한 상황
● 영업손실 지속으로 자기자본 활용 효율성이 저하. 전자기기 부품 업계 평균 ROE(약 10~15%)와 비교 시 크게 미달
● 헬스케어 기기와 삼성전자와의 안정적 협력 매출이 ROE 회복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음
3-3. PBR (Price-to-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값: 2.06
● 이엠텍의 PBR 2.06은 시장이 자산 가치 대비 약 두 배 이상의 가치를 부여하고 있음을 의미
● 헬스케어 및 뷰티 기기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전자담배 제품 수요 증가 기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
● 시장이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력과 제품군 다변화에서 기인
● 만약 수익성(ROE)이 지속적으로 낮다면, PBR의 과대평가로 간주될 가능성
● 전자기기 제조업체 평균 PBR(1.5~2.0)과 비교 시 상위 수준
3-4. 부채비율 (Debt-to-Equity Ratio) 값: 63.53%
● 일반 제조업체의 적정 부채비율은 약 100% 내외로, 이엠텍의 63.53%는 안정적 수준으로 평가
● 부채비율이 낮아 외부 차입 의존도가 적고, 재무 안정성이 높음
● 매출 감소와 영업손실이 지속될 경우, 재무활동을 통해 자금 조달이 필요할 수 있어 부채비율 상승 가능성 존재
● 동일 업종 평균(50~100%) 내에서 안정적
![]() |
![]() |
4. 성장 가능성과 주가 전망
4-1. 성장 가능성
<헬스케어 및 뷰티케어 시장 확대 헬스케어 제품>
● 스마트 보청기와 음성 증폭기 등 헬스케어 기기의 수요는 글로벌 인구 고령화와 개인 건강 관리 니즈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
● 시장 조사에 따르면 헬스케어 기기 시장은 연평균 8~10% 성장할 것으로 보임
● 뷰티케어 기기는 특히 아시아와 유럽 시장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개인화된 피부 관리와 홈 뷰티 솔루션에 대한 관심 증가가 주요 동력.
<전자담배 시장의 성장 전자담배 산업 동향>
● 전 세계적으로 전자담배 사용 인구는 2025년까지 연평균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이엠텍은 혁신적인 전자담배 기기를 출시하며,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
●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낸 My Theater 등의 성공 사례는 글로벌 확장의 기반
My Theater는 이엠텍이 개발한 고성능 무선 블루투스 이어셋으로, 고해상도 음질과 소음 제거 기술을 탑재한 프리미엄 오디오 기기. 일본 등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판매량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성공을 거둔 대표 제품
<글로벌 사업 재구조화 효과>
● 2024년 베트남 및 중국 계열사 청산을 통해 운영 효율성과 비용 절감 → 핵심 사업 강화로 이어질 전망
● 헬스케어 및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 사업에 집중하여 수익성을 개선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
<삼성전자와의 협력 강화>
● 삼성전자와의 지속적인 협력은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제공하며, 이엠텍의 신뢰도와 기술력을 시장에 입증
● 고품질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 공급은 이엠텍의 핵심 사업
<R&D 투자 및 신제품 개발>
● 이엠텍은 2024년 R&D 투자를 확대하여 고부가가치 제품군(스마트 보청기, 음성 증폭기, 무선 이어셋 등)을 강화
4-2. 주가 전망
● 현재 주가 및 시가총액: 현재 주가는 약 29,000원 (2025년 1월 기준). 시가총액은 약 4,969억 원 수준
● 헬스케어 제품 및 전자담배 신제품이 시장에서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 주가 회복 속도가 지연될 가능성
● 글로벌 경기 둔화와 주요 고객사의 주문 변동이 잠재적 위협 요인
● 투자의견
- Buy(매수): 헬스케어 및 전자담배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과 구조조정 효과를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긍정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음.
- Hold(유지): 단기 리스크를 감안하여 실적 개선 여부를 확인하며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
※ 본 내용과 자료에 근거해 투자했다고 하더라도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져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사업보고서(재무제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전선 주가 전망: 2025년 성장 가능성과 리스크 (1) | 2025.02.18 |
---|---|
삼성전자 주가 전망: 2025년 반등 가능성은? (0) | 2025.02.17 |
하나기술 주가전망과 재무제표 분석: 이차전지 장비 시장의 혁신 리더 (1) | 2025.01.04 |
2차 전지 장비 시장의 선도주자 윤성에프앤씨 기업 분석 (0) | 2025.01.02 |
강화유리와 커넥터 기술로 미래를 여는 제이앤티씨 사업보고서 재무제표 분석 (0)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