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룡전기 주요사업
제룡전기는 변압기, 개폐기, GIS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전력 수요 증가와 전력망 노후화로 인해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건설 경기 악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고마진 중심의 선별 수주를 통해 매출 실적과 영업 이익으로 크게 개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룡전기 재무제표 분석
제룡전기는 미국의 전력망 노후화와 인프라 법안 및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변압기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2022년부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매출액 증가 : 488억('21년) → 861억('22년) → 1,839억('23년) '22년 대비 '23년 114% 성장
● 영업이익 증가 : 1억('21년) → 160억('22년) → 701억('23년) '22년 대비 '23년 339% 성장
● 당기순이익 증가 : 12억('21년) → 125억('22년) → 564억('23년) '22년 대비 '23년 352% 성장
2024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2분기 대비 매출액은 87%, 영업이익은 107%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로 볼때 2024년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자본과 부채도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현금흐름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제룡전기 투자 지표 분석
구분 | '23년 4분기 기준 | '24년 2분기 기준 | 비고 |
주가 | 20,050원 | 60,400원 ('24.10월 기준) | - |
시가총액 | 3,220억 원 | 9,702억 원 | - |
EPS(주당순이익) | 3,510원 | 3,048원 | - |
PER(주가수익비율) | 5.7배 | 19.8배 | 20배 이하 투자 권유 |
PEGR | 0.87 | - | 0.5미만 투자 권유 |
PBR | 2.58 | 13.70 | 0.9이하 투자 권유 |
● PER(Price Earning Rratio : 주가수익비율) 분석
- '24년 2분기 주가는 '23년 4분기 주가의 3배 이상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24년 6월말 기준 PER은 주당수이익의 19.8배의 멀티풀을 받고 있는데 이는 '24.6월 말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계산된 것이라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당기순이익 '23년 대비 100%이상 증가할 경우(주가가 60,400원으로 변동없을 경우) PER은 9.5배로 낮아져 주가가 저평가 될 수도 있습니다.
- 현재 PER이 19.8배의 멀티풀을 받는 다는 것은 시장의 기대가 그 만큼 높다고 볼 수도 있지만 기대치가 주가에 모두 반영되어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PER 20배 이하인 경우 투자를 권유합니다. 만약 PER 20배 상태에서 제룡전기가 '25년 이후에도 수주가 계속된다면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 PEGR(Price Earning to Growth Ratio) 분석
- PEGR은 PER을 EPS(주당순이익) 증가율로 나눈 값으로 피터린치가 만든 투자지표로 유명합니다.
- PEGR이 0.5미만일 경우, 기업이 받고 있는 성장 기대치인 PER 보다 주당순이익 증가율이 높기 때문에 투자할 권유할 수 있는 기업으로 봅니다.
- 반면 PEGR이 1.5이상일 경우 주식을 매도할 시기로 봅니다.
- 이러한 공식에 의하면 제룡전기의 경우 0.87로 투자 가치가 있는 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주당순이익 증가율은 2022~2023년 평균치로 계산하였음
● PBR(Price to Book-value Ratio) 분석
- PBR은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측정하는 방법으로 일부 투자 전문가는 0.9이하의 경우 투자를 권하는 경우가 있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룡전기 주가전망
제룡전기의 주가 전망은 향후 미국 수출이 얼마나 지속될 것인가에 달려 있다고 볼 수있습니다. 최근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향후 배전 변압기 공급을 2050년 까지 2021년 수준 보다 160%~260%까지 확대 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전기화 증가, 데이터 센터, 재생에너지 발전 증가와 같은 대용량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향후 몇 년간 변압기 사업은 구조적 성장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 제룡전기의 별다른 발주 소식이 없지만 미국의 변압기 공급 부족과 유럽 시장에서 한국 변압기 수출이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향후 주가는 올해 목표치인 90,000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본 내용과 자료에 근거해 투자했다고 하더라도 투자결과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져야함을 알려드립니다.
'사업보고서(재무제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OLED,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소재의 숨은 강자 덕산테코피아 기업 분석 (2) | 2024.12.31 |
---|---|
엔켐 주가전망과 재무제표 분석: 2차 전지 전해액 시장 선도 기업의 성장성 (0) | 2024.12.27 |
실리콘투 주가 전망 및 재무제표 분석(2024) (1) | 2024.08.26 |
에이비엘바이오 주가 전망 및 재무제표 분석(2024) (0) | 2024.08.20 |
알테오젠 주가 및 재무제표 분석 (1) | 2024.08.19 |